[MSX2] 대우 아이큐 2000(CPC-300) 정비하기
33년된 대우 아이큐 2000(CPC-300)을 구했는데 전원을 켜보고 키보드 작동이 안되는 것과 화면 흔들림 이외에 작동 이상은 없었습니다. 그런 후 안을 확인하기 위해 본체의 뒷면에서 여섯 군데의 나사를 풀었습니다. 본체를 뜯어서 안을 열었을 때 그 순간 먼지와 때로 가득찬 아이큐 2000을 보고 전 주인이 얼마나 관리를 안했을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비를 위해서 먼저 했던건 했던 것은 A/V 보드의 나사를 풀어 A/V 보드를 빼내었습니다.
건전지 누액테러를 당한 기판을 세척하기 위해서 메인보드의 건전지를 빼내는 것이었습니다. 다행이도 누액테러는 심하지 안해서 건전지 주변만 테러를 당했습니다. 전지를 뺀 후에 메인보드 기판에 있는 나사를 풀었습니다.
기판 세척전에 A/V 보드에서 코일 bnf를 제거하였습니다. 코어와 커버사이에 공간이 많아서 물이 잘 안빠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거했습니다.
A/V 보드와 메인보드의 기판 세척을 위해서 다이소에서 PB-1을 사온 후 고무장갑과 KF94 마스크를 쓴 후 기판에 PB-1을 잔뜩뿌린 후 못쓰는 칫솔로 구석구석 묵은 때를 긁어줬습니다. 특히 건전지 주변은 여러번 박박 칫솔로 닦았습니다. 그런 후 미지근 물로 샤워물을 맞춰놓고 샤워기로 시원하게 물세척을 해줬습니다. 검은물과 노란물이 주르륵 세제물과 섞여서 나왔습니다. 깨끗하게 된 것을 확인한 후 기판 말리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기판 말리는 작업은 헤어 드라이기와 선풍기를 이용했습니다.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해서 A/V 보드와 메인보드를 물이 마를 때까지 말립니다. 10분 정도 작업했습니다. 열받은 기판을 선풍기를 돌려서 1시간 정도 그대로 두어서 식힙니다. 초벌로 말린 후 그런 작업을 매일 하루에 두 번씩 2박 3일 정도 해서 말렸습니다.
마르는 기간 동안에 케이스 내부 청소 및 이상이 있는 보드들을 수리했습니다. 준비도구는 인두기, 납, 솔더윅, 납땜 플럭스, A/V 보드용 6핀 스위치, 검은색 전선, 빨간색 전선을 준비했습니다.
A/V 보드에 떼어낸 코일 bnf를 납땜한 후 A/V 보드용 6핀 스위치를 새것으로 교체했습니다.
메인보드에서 건전지 케이스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새 것으로 교체했습니다.
교체할 때는 솔더윅을 이용해서 인두기로 열을 가열해서 빼내야 합니다. 이게 안빠진다고 니퍼를 이용해서 힘줘서 빼게 되면 기판에 있는 동박이 나갈 수 있으니 주의하셔서 뽑으셔야 합니다.
사운드 밸런스 개조를 위해서 메인보드 기판에서 R19, R20에 있는 저항을 1.2K옴으로 교체했습니다.
키보드가 작동이 안되서 X-II(CPC-400)용 키보드의 뒷면 나사를 풀은 후 커넥터와 연결된 전선 케이블에서 키보드를 빼낸 후 아이큐 2000(CPC-300)용 키보드를 제거한 후 X-II(CPC-400)용으로 교체해 줬습니다. 아이큐 2000(CPC-300) 전기형(1988년도까지 생산된 모델)은 이렇게해서 개조하면 되지만 후기형(1989년부터 생산된 이후 모델)은 필름 케이블로 되어있어서 교체가 불가능합니다.
롬팩을 꽂는 슬롯도 손을 봐야합니다. 문제가 카트리지가 삐딱하게 끼워진다는 것입니다. 원인은 슬롯안을 열어보면 팩의 앞뒷면을 가리키는 튀어나온 플라스틱이 있는데 그것이 높이가 높아서 입니다. 그것을 살짝 윗부분만 제거하는것이 좋습니다. 살짝 윗부분 제거 하라고 했는데 저는 제거하기 전에 지침글을 다시 안보고 예전의 글을 본 기억을 되살려서 해당 부분을 다 없애라는 것이라는 줄 알고 다 제거해버렸습니다. 다 제거한 후에야 실수했구나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작업하기 전에 항상 글을 다시 읽어본 후 숙지하고 해야겠습니다. 그래도 롬팩 꽂는데는 이상이 없습니다. 카트리지 케이스가 롬팩과 딱 맞아서 입니다. 그리고 카트리지 케이스가 있는 상태에서 롬팩 앞뒤를 바꿔서 끼면 롬팩이 안들어갑니다. 다시 그 부분을 복구해야 한다면 두꺼운 둥근 막대 플라스틱과 ABS 접착제를 이용해서 붙여야겠습니다.
2박 3일 후 다시 조립하기 전에 메인보드와 A/V 보드에 케이블들을 연결하고 건전지 케이스에 건전지를 넣습니다. 전원을 넣어 테스트를 해봅니다.
키보드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롬팩을 꽂고 전원을 넣을 경우 팩인식을 못하고 베이직 화면이 나타납니다. 저는 테스트 할 때 키보드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안하고 했는데 롬팩 인식이 안되서 좀 당황했습니다. 걱정하지마시고 롬팩 인식을 하려면 꼭 키보드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베이직에서 set date "21/02/13"으로 명령을 넣은 후 Ok가 나타나면 날짜가 설정된 것입니다. 1시간 이상이 지나도 날짜가 변함이 없다면 건전지로의 전원이 이상이 없는 것입니다.
상판에 달려있는 키보드의 커넥터와 리셋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연결합니다.
모든 것이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 후에 케이스에 나사를 넣고 조립을 합니다.
대우 아이큐 2000(CPC-300) 정비 요약
1. 본체 분해
2. 건전지 제거
3. 본체에서 A/V 보드와 메인보드 기판 떼어내기
4. 기판 세척
5. 기판 말리기
6. A/V 보드와 메인보드 수리
7. 키보드 교체
8. 롬팩 슬롯 플라스틱 제거
9. 롬팩과 키보드및 건전지 테스트
10. 본체 조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