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블록 확인(Adblock Verification)

애드블록을 꺼주세요!
(Please turn off the AdBlock!)



영어권에서는 'Passive Income' 이라는 용어가 흔히 쓰이는데, 이것을 있는 그대로 번역하자면 '수동적 수입'이 됩니다. 즉, 능동적으로 일을 하는 행위 없이 발생하는 수입을 뜻하죠. 즉, 금융소득이나 수익부동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수동적 수입'을 창출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능동적 수입(Active Income)'에 속하는 근로 소득이나 사업 소득과는 달리 일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 예를 들어 근로 소득은 매주 5일, 하루에 8시간씩 근무를 하지 않으면 그 소득은 멈춰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수동적 수입'만으로도 충분한 현금 흐름이 만들어진 사람은 시간적, 경제적 여유를 갖게 되므로 좀 더 퀄리티 있는 삶을 영유할 수 있습니다.


1. 수익형 부동산

많은 사람들이 가장 쉽게 떠올리는 수동적 수입원입니다. 최근 경매를 통해서 작은 빌라나 원룸 등을 낙찰받아 월세를 받으려고 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점차 우리나라도 전세는 점점 사라지고, 월세만 남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있는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계속되리라 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수익형 부동산 하면 거액의 돈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의외로 작은 다세대 주택이나 원룸, 빌라 등은 대출을 껴서 매수하면 생각보다는 적은 돈으로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금이나 공실 여부 등 여러가지 잘 따져보고 투자를 해야겠죠?


2. 인터넷 홈페이지나 블로그 운영

인터넷의 장점은 어떤 홈페이지를 구축하거나 블로그를 만드는데 돈이 아주 적게 들거나, 아예 들지 않습니다. 그리고 내가 잠을 자고 있을때도 24시간 열려있다는 것이 '수동적 수입'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어떤 것보다도 큰 장점입니다. 인터넷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이용해서 돈을 버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광고를 게재하여 클릭당 얻는 수익

 - 광고를 게재하여 판매당 얻는 수익

 - 광고를 게재하여 회원가입을 유치하여 얻는 수익

 - 광고를 게재하는 것 자체에 대하여 얻는 수익

 - 다른 사람의 광고나 제품 설명 등을 유치하여 얻는 수익

 - 회원제 등 유료 서비스의 제공


물론 대부분의 경우 인터넷 홈페이지/블로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아주 안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100% 수동적인 수입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내가 실제로 일을 하지 않고 있는 시간에도 계속 돌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수동적 수입의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3. E-book 자가 출판하기

저작권이라는 것은 정말 강력합니다. 노래방에서 노래가 1번 불려질때마다도 저작권을 받는 작곡가들이나 가수들의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지드래곤이 그 어린 나이에 비싼 차들을 끌고 다니는 것도 상당부분 저작권료의 힘이 크겠죠?


평범한 사람으로써 저작권료를 수동적 수입원에 포함시키고 싶다면 해볼만한 것이 바로 전자책의 출판입니다. 실제 종이책을 출판하는 것도 괜찮겠지만, 아무래도 잘해야 5~10%에 불과한 인세를 받기 보다는, 전자책을 저렴하게 출판해서 박리다매를 하거나, 정가(?)에 판매를 해서 돌아오는 수익의 양을 늘리거나 하는 등의 전략적인 선택을 하는 편이 낫습니다.


해외 블로거들 중에는 블로그에 실었던 내용을 정리하고 살을 덧붙여 e-book으로 판매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리고 한번 e-book으로 출판해놓으면 종이책처럼 재고에 대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지 않으므로, 들어가는 돈은 없이 수익만 계속 창출되기 때문에 완벽한 수동적 수입원이 됩니다.


물론 실제로 평범한 사람들이 책을 써서 갑자기 유명해진 케이스가 많이 있기도 하죠. 해리포터의 조앤 아줌마도 해리포터를 쓰기 전까진 평범한 아줌마였고, 여자들이 읽는 야설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한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라는 책의 작가는 원래는 트와일라잇의 팬픽을 쓰는 등 평범한 사람이었다고 하네요. (그레이 시리즈는 미국에서만 2천만부 이상, 전자책으로만 100만부 이상 팔린 베스트 셀러입니다.)


이런 것처럼 소설을 쓸 수도 있고, 아니면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책을 쓸 수도 있겠죠? 책을 쓴다는 것이 꼭 엄청난 지식과 필력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블로그에 쓴 글을 모아서 출판하는 블로거들도 많은데, 너무 부담갖지 말고 한번 시작해보세요.


4. 유튜브 동영상으로 수익내기

유튜브라는 세계 1위의 동영상 사이트는 다 아시죠? 유튜브에서 동영상 보시면서 광고 때문에 짜증난다 생각하신적 있으신가요? 그 여러분이 보시는 광고가 영상을 업로드 한 사람에게는 광고 수익으로 돌아갑니다. 수익은 광고마다 단가가 달라서 딱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1회 재생 횟수당 1원 정도 수입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즉, 영상을 올려서 1만회 정도 재생 횟수가 기록되면 1만원 정도 수익이 되겠죠?


최근 대도서관이라는 유명한 아프리카BJ가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려서 한달에 천만원이 넘는 수익을 올린다는 사실이 알려져서 큰 화제가 되기도 했었죠. 그런데 그 분은 모든 영상이 조회수가 최소 몇만에서 몇십만건씩 올리고 계시는 유명BJ니 만큼, 일반 사람이 그정도의 수익을 올리긴 쉽지 않겠죠.


하지만 유튜브 특성상 한번 동영상을 올려놓으면 전세계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만큼, 한번 올려 놓으면 별다른 노력 없이 수익의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5. 배당주에 투자하기

주식이라면 절대 노!를 외치는 분들도 많겠지만, 사실 배당주 만큼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해주는 수동적 수입원도 없습니다. 게다가 장기적으로 경제는 우상향이라고 생각한다면, 배당금 뿐만 아니라 배당주 자체의 주가가 올라가면서 생기는 차익도 노릴 수 있죠.


적게는 은행금리 수준인 3~4%에서 많게는 10~20%를 배당하는 주식들도 있으므로 잘 골라보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배당을 많이 한다고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뭔가 음흉한 이유로 배당을 1회적으로 많이하는 거일수도 있구요.. 하지만 오랜 시간동안 꾸준하게 고배당을 해온 주식이 있다면 어느정도 믿을 수 있겠죠?


이 밖에도 약간은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겠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 등이 수동적 수입원의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YouTube) 인코딩  (0) 2016.07.05
블로그 수익 창출  (0) 2016.05.23
광고수익으로 돈 많이 버는 방법은?  (0) 2016.05.19
다음 팟인코더 사용하기  (0) 2016.04.28
openMSX 코덱 설치 및 비디오 캡쳐 방법  (0) 2016.04.26

+ Recent posts